10cm <1.0>

| 2012. 1. 4. 12:26

내가 10cm를 처음 접했던 때는 그들의 이름이 지금처럼 널리 알려지지 않았을 때였다.
2009년 후반기 대전에서 내 일생 일대의 밴드를 하고 있던 당시, 솔깃한 제안이 하나 들어왔던 것이 있다.
비디오 중심의 음악 블로그, 또는 음악 중심의 비디오 블로그인 렉앤플레이에서 지방에서 활약하는 유명하지 않은 밴드들의 인터뷰를 준비하고 있다는 것이었는데 영광스럽게도 우리가 대전편의 주인공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 핵심이었다.
갑자기 들떠서는 분주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우선 블로그의 컨셉부터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였기 때문에 당장에 도서관 컴퓨터로 달려가 렉앤플레이.넷에 접속했다.
바로 그 때, 그 블로그의 첫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었던 것이 10cm였다.

사실대로 말하자면 나는 그 때 그들의 비디오를 제대로 보지 않았다.
그들의 음악 스타일을 묵묵히 감상하기에 나는 너무 흥분되어 있었고 기껏 집중해서 보려고 해봤자 기타 한 대와 이름을 알 수 없는 타악기 하나가 달랑이었던 그들의 음악이 굉장히 허술해보였기 때문에 더 내 이목을 끌지 못했던 것 같다.
하지만 내가 10cm에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던 이유는, 무엇보다 결국엔 그들도 우리와 비슷한 어떤 무명의 밴드일 것이라는 생각을 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비록 내가 당시에 참여하던 밴드가, 내 인생을 반추하건대 가장 실력도 빵빵하고 케미스트리도 뛰어났던 밴드였기는 했지만 객관적으로 보기에 별로 대단한 팀은 아니었다.
작은 모니터 안에서 흥겨운 척 노래하는 그들도 우리와 별 반 다를 것이 없다면 사실 그다지 대단한 녀석들이 되지는 못한다는 생각을 했다.
10cm가 언론의 주목을 받고 갑자기 인기 몰이에 나섰을 때도 나의 태도는 예전과 다를 것이 없었다.
'후후, 나도 한 때는 10cm와 같은 수준에 올랐을 때도 있었지.'하는 개똥차반 같은 생각을 하면서 나는 그들의 상승세를 음악적 포퓰리즘으로 규정하고 눈길 한 번 제대로 주지 않았다.

머리 속의 똥을 치우는 데에는 생각보다 오랜 시간이 걸렸다.
24세가 끝을 향해 달려가던 10월의 언젠가 '그게 아니고'라는 음악을 듣고나서, 10cm를 재조명하기 시작했다.
이들이 '아메리카노' 같은 유행에 민감한 훅 송으로만 무장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고, '아메리카노'가 수록되어 있지 않은 정규 1집을 들어보았다.
그리고 그 때서야 나는 비로소 10cm를 하나의 '제대로 된' 뮤지션으로 인정했다.
그리고 지금에는 뭐 아주 열렬한 수준까지는 아니나 나 자신을, 그들의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으로 결론지었다.
그도 그럴 것이 10cm의 음악은 누구나 쉽게 좋아하게끔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고, 그렇게 높은 접근성을 만들어낸 뒷배경에 우리가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그들만의 내공이 적잖이 쌓여 있기 때문이다.


10cm는 표면적으로는 어쿠스틱 기타와 젬베, 그리고 노래만으로 구성된 음악을 하는 팀이지만 앨범에는 그보다는 좀 더 다양한 악기 구성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총 12개의 트랙 중 딱 절반의 트랙이 밴드 셋을 사용하여 녹음했고, 그 나머지 절반 중에서도 몇몇 곡에는 젬베가 들어가지 않는 트랙도 있으며 기타 외에 다른 멜로디 악기를 사용한 트랙도 있다.
아무래도 밴드부심(負心)이 심한 나는 10cm의 음악 중에서 밴드가 다 같이 녹음에 참여한 트랙들을 좋아하는 편이다.

'1.0' 앨범의 감상 포인트는 바로 이 밴드 셋의 트랙과 그렇지 않은 트랙들의 차이에 있다.
밴드의 참여 정도를 기준으로 그라데이션을 깔고, 과연 어떤 쪽에서 10cm의 냄새가 더 많이 느껴지는지 생각해보는 것.

'우정, 그 씁쓸함에 대하여'와 '곱슬머리'는 가벼운 8비트를 채택한 팝적인 락 넘버다.
전자는 베이스 라인과 기타 스트로크에서 복고적인 느낌을 살리고 가사에서는 장난스러운 점을 부각시킨 트랙이고, 후자는 우리나라 인디 신이 아니라면 나오기 힘든, 대한민국 인디 특유의 발랄함이 살아 있는 트랙인데 그 스토리텔링의 기법이 다르다 뿐이지 기저에 깔린 사운드 메이킹 방식은 거의 같다.
밴드 음악의 특징을 지어주는 드럼이 가장 전면에 등장한다는 점에서 저 두 트랙을 그라데이션의 한 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고 본다.
그러나 솔직히 이런 음악이야 깔리고 깔렸다.

이쯤에 지난 번에 소개한 '그게 아니고'가 들어간다.
자세한 이야기는 위 링크를 참조하길 바라고, 드라이브 기타가 들어간다는 점에서 이 트랙을 가장 끝에 위치해야 하는 것이 아닌지 혼자서 많이 고민했는데 곡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고려해 끝보다는 조금 더 중앙에 가까운 곳에 놓았다.
내 맘이다.

'Beautiful moon'은 전의 두 트랙보다는 까불거리는 기운을 많이 자제했는데, 분위기가 티아고 요르크의 1집 또는 제이슨 므라즈의 3집과 닮았다.
첫 트랙 'Kingstar'는 앨범에서 가장 독특한 분위기를 뿜어내는 트랙인데 과연 이런 이질적인 트랙을 1번에 갖다 놓은 것이 어떤 의도인지 궁금하다.
권정렬 특유의 느끼함, 끈적거림을 잘 살린 보컬과 아코디언의 조합, 스타킹 페티쉬에의 강한 애욕을 보이는 가사 등이 부담스럽지 않은 즐거움을 준다.
'Kingstar'에서 처음으로 10cm만의 특성이 들릴락 말락 하고 있다.

http://blog.naver.com/areum0221/70108669955


꼭 인트로가 마룬 5의 'She will be loved'를 떠올리게 하는 'Beautiful'은 밴드 셋으로 녹음된 트랙 중에 가장 듀오 구성에 가까운 트랙이다.
드럼의 개입이 매우 자제되어 있고 보컬의 멜로디 라인과 윤철종의 어쿠스틱 기타가 다른 모든 소리를 제치고 탑으로 얹혀 있다.
바로 이 'Beautiful'을 경계로 해서 나머지 트랙은 사뭇 다른 분위기의 반대편에 속하게 된다.

'Hey Billy'는 듀오 구성 중에서는 가장 박자감이 살아 있는 트랙이다.
'Kingstar'와 마찬가지로 아코디언이 등장하고 하모니카 소리도 들리고 여튼 간에 흥겹다.
이 트랙에서 가장 주목해야 할 점은 바로 후반부의 스캣(scat)이다.
스캣이라는 창법이야 뭐 그렇게 독특할 만한 것은 아니지만 무한한 변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뮤지션의 개성을 드러내기에 이토록 좋은 수단도 또 없을 것이다.
결국 우리가 제이슨 므라즈의 'I'm yours'를 그렇게나 좋아하는 이유도 심심할 때쯤 되면 튀어나오는 그의 부드러운 스캣 때문이 아닌가.
드디어 10cm의 개성이 뚜렷하게 보이기 시작한다.

'사랑은 은하수 다방에서'와 '죽겠네'는 따로 구분하기 애매할 정도로 비슷한 인상이다.
'죽겠네'에서 사용된 카주 솔로, '사랑은 은하수 다방에서' 중간에 등장하는 멜로디언 솔로가 독특하다.
질질 끄는 듯하면서 제 때 제 때 다음 음으로 넘어가는 권정렬의 노래가 참 달콤하다.
아무래도 이런 류의 적당한 재기발랄 새콤달콤한 트랙이 10cm 최고의 장기가 아닐까.
분위기를 조금 바꾸어 'Talk'로 넘어가도 사정은 별로 달라지지 않는다.
적당히 화려한 기타 반주, 여전히 달콤한 노래, 라임이 잘 맞는 버스(verse)와 입에 딱딱 붙는 코러스, '그게 아니고'를 제외하면 내가 이 앨범에서 제일 즐겨 듣는 트랙이다.


남은 트랙인 '살'과 'Rebirth'는 발라드 넘버들로, '살'은 좀 더 직관적이고 직설적인 노래와 반주를, 'Rebirth'는 그보다는 다소 추상적이고 간접적인 화법을 채택했다.
듣기에는 좋으나 아쉽게도 10cm만의 색은 다시 퇴색되는 느낌이 없잖아 있다.
그나마 'Rebirth'는 좀 덜하지만, '살'은 정말로 그렇다.

편의상 이런 식의 분류를 쓰기는 했지만, 모든 트랙은 이지 리스닝이 가능한 쉬운 음악이다.
그러나 예술이라는 분야에서 그 결과물이 갖는 이해의 난이도와 그 결과물을 만드는 과정의 난이도는 아예 별개의 것이다.
쉽게 들리는 음악이라고 해서 그 음악을 쉽게 만들었으리라는 법은 없다.
오히려 우리가 쉽게 듣는 음악은 대개 깊은 고뇌와 갈등에서 탄생한 소중한 결과물이다.
10cm의 첫 정규 앨범 '1.0'도 여기서 예외가 될 수는 없겠다.

'1.0' 앨범 커버 아래를 보면 "take off your covers and be naked with sound"라는 글귀가 써 있다.
그렇다.
앨범의 트랙을 찬찬히 듣다보면 10cm의 음악은 대체로 옷을 많이 벗는 편이 더 좋다는 느낌을 받는다.
하지만 마지막 부분에서 살펴보았듯이 음악적인 "covers"를 너무 벗어 던져버리면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을, 그들은 잊어선 안되겠다.
개인적으로는 '사랑은 은하수 다방에서'나, '죽겠네', 'Talk'의 노출 정도가 가장 좋았다.
옷에 비유하자면 자켓, 상의, 하의는 벗고 딱 속옷만 입고 있는 것.
속옷은 너무 부담스럽거나 밋밋한 거 말고 적당히 야한 걸로.
그러니까…….

하하하. 농담이다. http://blog.daum.net/tjfguswodi/8536336

'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항하지마  (0) 2012.01.09
Daft Punk - Something about us  (3) 2012.01.09
손지연을 만나다  (3) 2012.01.08
Foster The People <Torches>  (4) 2012.01.06
네이버 음악 이 주의 발견 - 국내 앨범 1월 첫째 주 40자평  (0) 2012.01.05
Beastie Boys <Licensed To Ill>  (0) 2012.01.03
The Descent  (0) 2012.01.03
Usher - Caught up  (2) 2012.01.01
흑태양 731  (0) 2012.01.01
로지피피(RoseyPP) <Aloha Oe>  (0) 2011.12.31